차상위계층 vs. 우선돌봄 차상위계층, 어떤 차이가 있을까?
정부 지원 정책 및 생활정보 공유하기

차상위계층 vs. 우선돌봄 차상위계층, 어떤 차이가 있을까?

by 정부지원정책 도우미 2025. 7. 26.
반응형

 

복지제도에서는 소득과 생활 상황에 따라 다양한 계층을 나누고 있어요. 그 중에서도 ‘차상위계층’과 ‘우선돌봄 차상위계층’은 엄연히 구분되는 대상이기 때문에, 지원 조건과 혜택이 달라질 수 있어요. 오늘은 위 두가지 계층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께요. 

 

1. 차상위계층이란?

차상위계층은 말 그대로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 소득계층을 의미해요.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 대상은 아니지만, 중위소득 50% 이하이면서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‘차상위’로 분류돼요.

 

차상위계층 신청하기

 

주요 유형으로는:

  • 차상위자활
  • 차상위장애수당
  • 차상위본인부담경감
  • 차상위계층확인서 발급 대상자
  • 차상위한부모가족

이렇게 총 5~6개 정도의 세부 유형으로 나뉘며, 유형별로 신청 자격이 다릅니다.
공통적으로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% 이하이고, 가구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.

 

👉 예시: 2025년 4인 가구 기준

  • 중위소득 50% = 약 280만 원 이하이면 차상위 가능성 있음 (정확한 금액은 매년 변경)

청년 월세지원서비스 신청하기

2. 우선돌봄 차상위계층이란?

 

‘우선돌봄 차상위계층’은 보통 아이돌봄서비스복지 서비스를 받을 때 우선지원 대상으로 분류되는 특정 차상위계층 범주예요.

즉, 일반 차상위계층 중에서도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가정을 따로 구분해서 복지 서비스(예: 아이돌봄, 교육비, 돌봄 지원 등) 신청 시 비용 감면이나 우선순위 혜택을 주는 거예요.

 

보통 다음과 같은 유형이 포함돼요:

  • 차상위계층(중위소득 50% 이하)
  • 한부모가족
  • 조손가족
  • 장애인 가정
  • 다문화가정
  • 다자녀가정(3인 이상)

즉, 차상위계층 중에서도 더 취약하거나 돌봄이 필요한 가정을 우선 분류한 개념이에요.

 

한부모 가족지원서비스 신청하기

 

👉 쉽게 말하면:

차상위계층 중에서도 아이 돌봄이 꼭 필요한 가정에, 더 빠르게 더 많은 혜택을 주자”는 개념입니다.


3. 조건은 어떻게 다른가요?

구분 ㅣ 차상위계층 ㅣ 우선돌봄 차상위계층

 

기준소득 중위소득 50% 이하 중위소득 120% 이하도 가능 (서비스별 상이)
유형 6개 법정 유형 특정 서비스용 분류 (돌봄·교육 등 중심)
지원내용 본인부담 경감, 자활근로, 장애수당 등 아이돌봄비용 경감, 우선순위 배정 등
신청방법 주민센터에서 신청 (유형별 상이) 개별 서비스 신청 시 자동 분류 또는 확인서 제출
 

실제 예시로 보면 더 쉬워요!

  • A씨는 맞벌이 부부이고, 소득은 중위소득 60% 수준.
    세 아이를 키우는 다자녀가정이고, 조손가정 형태로 할머니가 주양육자예요.

→ 이 경우, 법정 차상위계층은 아닐 수 있지만,
아이돌봄서비스 등에서는 ‘우선돌봄 차상위계층’으로 분류정부지원률 70% 이상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

한 줄 요약!

  • 차상위계층: 법적으로 정해진 소득기준에 따라 선정된 계층
  • 우선돌봄 차상위계층: 차상위 또는 비슷한 소득이지만 돌봄 서비스에서 우선 지원되는 가정 유형

정확한 분류와 혜택 여부는 주민센터 또는 각 복지 서비스 기관에서 확인하시는 게 가장 빠르고 정확해요.
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, ‘행복e음 시스템’ 조회 또는 129번 복지상담 콜센터에서도 도와줘요.

반응형